탄생 배경과 기능
은행 섹터의 레버리지 ETN, BNKU
현재 금리 상승으로 인해 은행주의 호황이 예상되며, 이에 따라 미국 은행 주식 지수를 3배 레버리지하는 ETN 상품인 BNKU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BNKU는 미국 대형 은행 10종목으로 이뤄진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며, 해당 지수의 상승률에 따라 BNKU의 주가가 3%씩 오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ETN과 ETF의 차이
상장지수증권의 새로운 얼굴, ETN
ETN은 Exchange Traded Note의 약자로, ETF와 유사하지만 발행사가 증권사이며 만기가 정해져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자산이 아닌 증권사의 신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증권사 파산 시 원금 회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세금 구조와 주의사항
해외 ETN의 세금 구조
해외 ETN의 세금 구조는 배당소득세와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으로 구성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종목별이 아닌 해외 주식, ETF, ETN의 총 손익을 합산하여 납부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BNKU의 구성과 특징
MicroSecotrs U.S. Big Banks Index를 3배로 추종하는 BNKU
BNKU는 미국 대형 은행 지수를 3배 레버리지하는 ETN 상품으로,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등 미국 대형 은행 주식 10종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장일은 2019년 4월2일이며 만기일은 2039년 3월25일이며, 수수료는 0.95%로 평균적인 수준입니다.
투자 장점
레버리지를 활용한 수익 극대화
BNKU는 레버리지 ETN으로, 미국 대형 은행 지수를 3배로 추종합니다. 이는 해당 지수의 상승폭에 비례하여 BNKU의 주가가 높은 비율로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은행 섹터의 성장이 예상되는 시기에는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성 가능
BNKU는 미국 대형 은행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N으로, 은행 섹터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시장 변동성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투자 단점
레버리지의 위험
레버리지 상품은 주가 상승 시 수익을 극대화하지만, 주가 하락 시 손실도 커질 수 있습니다. BNKU는 해당 지수의 변동성에 3배로 노출되므로, 시장의 불확실성과 급격한 변동성에 더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선순위 채무
ETN은 증권사의 신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증권사의 파산 시 원금 회수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ETN 보유자가 선순위 채권자로써 증권사의 파산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ETF 정복하기 8탄! 종목 알아보기!(FNGU란?) (0) | 2023.12.15 |
---|---|
미국 주식 ETF LABU 병합에 관하여. (0) | 2023.11.29 |
미국 주식 ETF 정복하기 6탄! 종목 알아보기!(LABU ETF란?) (0) | 2023.11.20 |
미국 주식 ETF 정복하기 5탄! 종목 알아보기!(SPDR S&P 500 ETF 란? (0) | 2023.11.17 |
미국 주식 ETF 완전정복하기 4탄! 종목 알아보기!(TECL이란?) (0) | 2023.11.16 |